오타, 오역 지적 환영!
꼼꼼히 읽어보시면 아마도 굉장히 많은 부분에서 여태 잘못 알고 있던 사실들이 많다는것을 알수 있을겁니다.
그외에 현재는 사장되어 전혀 작동하지 않는 불필요한 옵션들도 많이 남아있고, 일균과 대균열을 구분해서 진척도 구슬을 먹는 옵션 추가될 예정이라는 정보도 있는등 나름 재밌습니다. (3월 21일자 비공식 515버전 트리니티에서 반영됨)
------------------------------------------------------------------------------------
원문출처 : https://www.thebuddyforum.com/demon...-construction-trinity-settings-explained.html
트리니티가 처음으로 만들어져 배포된지 4년남짓 흘렀습니다. Giles가 처음에 전투와 타운런과 아이템을 줍는 간단한 기능을 탑재한 플러그인으로 제작한 이후로 긴 여정을 지나왔습니다. 여러가지 Bulid들이 만들어지고 사라지면서 플레이스타일도 점점 더 복잡해졌고, 디아블로3 자체도 서서히 보다 완성도있고 미묘한 게임으로 변화 되었습니다. 그에 발맞춰, 트리니티도 이 커뮤니티에서 봇을 돌리기위해 요구한 새로운 게임메타들을 받아들이며 지속적으로 바뀌어왔습니다. 이것은 분명히 좋은 현상인 반면에 동시에 유저들의 봇이 의도한대로 작동 하도록 하기 위해 점점더 자체의 설정이 늘어나는(점점더 무거워지는)부작용도 추가되어왔습니다.
결과적으로, 현재의 트리니티 설정 UI는 꽤나 직관적(이해하기 쉬움)임에도 불구하고 신규 유저들에게(일부 올드 유저들도) 공포스럽고 혼란스럽게 느껴질수도 있습니다. 이 가이드의 목적은 이 설정들에 대해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서 누구나 명확하게 자신의 필요성에 따라 설정을 변경할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이곳에서 어떤 질문이라도 자유롭게 하시면 제 능력이 닿는한 최대한 답변해드리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만약 버그에 대해 제보할사항이 있으시면, 체계유지를 위해(역주: 적절한 표현을 못찾겠음)이곳 대신 트리니티의 공식포럼에 제보해주십시오.
용어(축약어):
AoE: 'Area of Effect'의 줄임말. 근접공격이나 투사체(화살, 마법 광선등)가 아닌 이외의 공격형태나 지형에 대한 효과들을 나타내는 말
OOC: 'Out Of Combat'의 줄임말. 꼭 전투 상태가 아닌것을 의미하는 것이라기보다는 현재 트리니티가 전투에 돌입하기위해 공격하고자 하는 대상이 없는 상태. (역주 : 100% 그런건 아니지만 '이동할때'라고 생각해도 무방)
CD: 스킬 쿨다운 돌아가고 있는 상태. 'Off CD'은 쿨이 이제막 한바퀴돌아서 바로 스킬이 사용가능한 상태.
*Build(빌드) : 스킬 설정과 아이템 설정을 포괄해서 총칭하는 표현. 예를들어 악몽종수도, 악몽포격 같은것.
*weight(ed) : 사전 그대로의 의미는 무게, 중량, 중요성,영향력입니다. 주로 -ed 가 붙어서 중요성이 부과되었다, 달리 표현해서 우선순위라는 의미가 됩니다. 데몬버디의 모든 봇 동작 로직은 '어떤 조건을 만족하면 어떤 행동을 해라'는 수많은 if 조건절을 통해서 구성되는데, 상황에 따라서 동시에 여러가지 조건이 충족되어 동시에 시행할 행동이 여러가지가 겹칠때가 생깁니다. 이때 어떤 행동을 먼저 시행하고 어떤 행동을 나중에 시행할지에 대한 교통정리가 우선순위 입니다. 어떤 한 옵션의 우선순위가 올라간다고해서 반드시 그게 최우선 순위가 된다는 말은 아닙니다. 이 글에서도 여러번 사용되는 표현이며 트리니티 패치노트에서도 자주 언급되는 단어입니다. (개인적으로 제가 번역한 우선순위라는 표현에 심히 만족스럽고 흐뭇합니다.)
목차: 항목을 누르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묶여있는 항목이 많아서 이동후에도 스크롤 좀더 하셔야 될수도 있습니다.)
1. Combat(전투)
1.1 Misc(기타설정)
1.2 Class-specific settings(클래스별 세부 설정)
1.2.1 Common settings between classes(클래스간 공통 설정)
1.2.2 Crusader(성전사)
1.2.3 Barbarian(야만용사)
1.2.4 Monk(수도사)
1.2.4.1 Monk - epiphany(수도사 - 해탈)
1.2.5 Wizard(마법사)
1.2.5.1 Wizard - Archon(마법사 - 마인)
1.2.6 WitchDoctor(부두술사)
1.2.7 DemonHunter(악마사냥꾼)
1.2.7.1 DemonHunter - Shadow Power(악마사냥꾼 - 어둠의 힘)
2 Object(객체)
3 Items(아이템)
3.1 Pickup(줍기)
3.1.1 Item Rules Mode(아이템룰설정)
3.1.2 Equipment Pickup Options(장비 줍기 설정)
3.1.3 Auto-equip while leveling(쪼랩 키울때 장비자동장착)
3.1.4 Misc Pickup Options(기타 줍기 설정)
3.1.5 Gems(보석)
3.1.6 Crafting Materials: Grey / White / Blue / Yellow(조합 재료: 회색/흰색/파란색/노란색)
3.1.7 Gold Pickup Settings(골드 줍기 설정)
3.1.8 Ignore Item Situations(무시할 아이템 설정)
3.1.9 Reset(리셋)
3.2 Kanai's Cube(카나이의 함)
3.2.1 Extract Legendary Powers(전설 아이템 능력 추출)
3.2.2 Convert Crafting Materials(재료 아이템 변환)
3.2.3 Upgrade Rares to Legendary(희귀템을 전설템으로 업그레이드)
3.2.4 Limits(제한)
3.3 Gambling(겜블)
3.4 Item List(아이템리스트)
3.5 ItemRules(아이템룰)
3.6 Town Run(타운런)
3.6.1 Misc Town Run Options(기타 타운런 설정)
3.6.2 Free Bag Slots for Town Run(타운런을 실행할 빈 가방칸 수)
3.6.3 Sell/Salvage Options when item is not stashed(아이템을 보관하지 않을때 팔기/갈갈이 설정)
3.6.4 Max Item Stack Counts(아이템 갯수 제한)
3.6.5 Stash/Keep Scoring(보관할 최소 아이템 포인트 설정)
3.7 Mobile Notification(모바일 확인 기능)
4 Advanced(고급설정)
5 Debug
6 Avoidance
7 Paragon
8 TabUI
제 작업이 마음에 드셔서 기부해주실 용의가 있으시다면, 이곳에서 페이팔을 통해 가능합니다.
*당연히 이 링크는 제것이 아니라 이 글의 글쓴이이자 트리니티의 제작자중 1인인 Jubisman의 것입니다.
이 부분은 빼버릴까 고민을 조금 했는데 이런 문화가 있더라는 소개를 겸해서 그냥 넣었습니다. 이 사람뿐 아니라 모든 프로그래머들이 다 기부를 받고 있습니다. 이 기부외에 데몬버디 사측으로부터 월급을 따로 받는지는 모름.
꼼꼼히 읽어보시면 아마도 굉장히 많은 부분에서 여태 잘못 알고 있던 사실들이 많다는것을 알수 있을겁니다.
그외에 현재는 사장되어 전혀 작동하지 않는 불필요한 옵션들도 많이 남아있고, 일균과 대균열을 구분해서 진척도 구슬을 먹는 옵션 추가될 예정이라는 정보도 있는등 나름 재밌습니다. (3월 21일자 비공식 515버전 트리니티에서 반영됨)
------------------------------------------------------------------------------------
원문출처 : https://www.thebuddyforum.com/demon...-construction-trinity-settings-explained.html
트리니티가 처음으로 만들어져 배포된지 4년남짓 흘렀습니다. Giles가 처음에 전투와 타운런과 아이템을 줍는 간단한 기능을 탑재한 플러그인으로 제작한 이후로 긴 여정을 지나왔습니다. 여러가지 Bulid들이 만들어지고 사라지면서 플레이스타일도 점점 더 복잡해졌고, 디아블로3 자체도 서서히 보다 완성도있고 미묘한 게임으로 변화 되었습니다. 그에 발맞춰, 트리니티도 이 커뮤니티에서 봇을 돌리기위해 요구한 새로운 게임메타들을 받아들이며 지속적으로 바뀌어왔습니다. 이것은 분명히 좋은 현상인 반면에 동시에 유저들의 봇이 의도한대로 작동 하도록 하기 위해 점점더 자체의 설정이 늘어나는(점점더 무거워지는)부작용도 추가되어왔습니다.
결과적으로, 현재의 트리니티 설정 UI는 꽤나 직관적(이해하기 쉬움)임에도 불구하고 신규 유저들에게(일부 올드 유저들도) 공포스럽고 혼란스럽게 느껴질수도 있습니다. 이 가이드의 목적은 이 설정들에 대해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서 누구나 명확하게 자신의 필요성에 따라 설정을 변경할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이곳에서 어떤 질문이라도 자유롭게 하시면 제 능력이 닿는한 최대한 답변해드리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만약 버그에 대해 제보할사항이 있으시면, 체계유지를 위해(역주: 적절한 표현을 못찾겠음)이곳 대신 트리니티의 공식포럼에 제보해주십시오.
용어(축약어):
AoE: 'Area of Effect'의 줄임말. 근접공격이나 투사체(화살, 마법 광선등)가 아닌 이외의 공격형태나 지형에 대한 효과들을 나타내는 말
OOC: 'Out Of Combat'의 줄임말. 꼭 전투 상태가 아닌것을 의미하는 것이라기보다는 현재 트리니티가 전투에 돌입하기위해 공격하고자 하는 대상이 없는 상태. (역주 : 100% 그런건 아니지만 '이동할때'라고 생각해도 무방)
CD: 스킬 쿨다운 돌아가고 있는 상태. 'Off CD'은 쿨이 이제막 한바퀴돌아서 바로 스킬이 사용가능한 상태.
*Build(빌드) : 스킬 설정과 아이템 설정을 포괄해서 총칭하는 표현. 예를들어 악몽종수도, 악몽포격 같은것.
*weight(ed) : 사전 그대로의 의미는 무게, 중량, 중요성,영향력입니다. 주로 -ed 가 붙어서 중요성이 부과되었다, 달리 표현해서 우선순위라는 의미가 됩니다. 데몬버디의 모든 봇 동작 로직은 '어떤 조건을 만족하면 어떤 행동을 해라'는 수많은 if 조건절을 통해서 구성되는데, 상황에 따라서 동시에 여러가지 조건이 충족되어 동시에 시행할 행동이 여러가지가 겹칠때가 생깁니다. 이때 어떤 행동을 먼저 시행하고 어떤 행동을 나중에 시행할지에 대한 교통정리가 우선순위 입니다. 어떤 한 옵션의 우선순위가 올라간다고해서 반드시 그게 최우선 순위가 된다는 말은 아닙니다. 이 글에서도 여러번 사용되는 표현이며 트리니티 패치노트에서도 자주 언급되는 단어입니다. (개인적으로 제가 번역한 우선순위라는 표현에 심히 만족스럽고 흐뭇합니다.)
목차: 항목을 누르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묶여있는 항목이 많아서 이동후에도 스크롤 좀더 하셔야 될수도 있습니다.)
1. Combat(전투)
1.1 Misc(기타설정)
1.2 Class-specific settings(클래스별 세부 설정)
1.2.1 Common settings between classes(클래스간 공통 설정)
1.2.2 Crusader(성전사)
1.2.3 Barbarian(야만용사)
1.2.4 Monk(수도사)
1.2.4.1 Monk - epiphany(수도사 - 해탈)
1.2.5 Wizard(마법사)
1.2.5.1 Wizard - Archon(마법사 - 마인)
1.2.6 WitchDoctor(부두술사)
1.2.7 DemonHunter(악마사냥꾼)
1.2.7.1 DemonHunter - Shadow Power(악마사냥꾼 - 어둠의 힘)
2 Object(객체)
3 Items(아이템)
3.1 Pickup(줍기)
3.1.1 Item Rules Mode(아이템룰설정)
3.1.2 Equipment Pickup Options(장비 줍기 설정)
3.1.3 Auto-equip while leveling(쪼랩 키울때 장비자동장착)
3.1.4 Misc Pickup Options(기타 줍기 설정)
3.1.5 Gems(보석)
3.1.6 Crafting Materials: Grey / White / Blue / Yellow(조합 재료: 회색/흰색/파란색/노란색)
3.1.7 Gold Pickup Settings(골드 줍기 설정)
3.1.8 Ignore Item Situations(무시할 아이템 설정)
3.1.9 Reset(리셋)
3.2 Kanai's Cube(카나이의 함)
3.2.1 Extract Legendary Powers(전설 아이템 능력 추출)
3.2.2 Convert Crafting Materials(재료 아이템 변환)
3.2.3 Upgrade Rares to Legendary(희귀템을 전설템으로 업그레이드)
3.2.4 Limits(제한)
3.3 Gambling(겜블)
3.4 Item List(아이템리스트)
3.5 ItemRules(아이템룰)
3.6 Town Run(타운런)
3.6.1 Misc Town Run Options(기타 타운런 설정)
3.6.2 Free Bag Slots for Town Run(타운런을 실행할 빈 가방칸 수)
3.6.3 Sell/Salvage Options when item is not stashed(아이템을 보관하지 않을때 팔기/갈갈이 설정)
3.6.4 Max Item Stack Counts(아이템 갯수 제한)
3.6.5 Stash/Keep Scoring(보관할 최소 아이템 포인트 설정)
3.7 Mobile Notification(모바일 확인 기능)
4 Advanced(고급설정)
5 Debug
6 Avoidance
7 Paragon
8 TabUI
제 작업이 마음에 드셔서 기부해주실 용의가 있으시다면, 이곳에서 페이팔을 통해 가능합니다.
*당연히 이 링크는 제것이 아니라 이 글의 글쓴이이자 트리니티의 제작자중 1인인 Jubisman의 것입니다.
이 부분은 빼버릴까 고민을 조금 했는데 이런 문화가 있더라는 소개를 겸해서 그냥 넣었습니다. 이 사람뿐 아니라 모든 프로그래머들이 다 기부를 받고 있습니다. 이 기부외에 데몬버디 사측으로부터 월급을 따로 받는지는 모름.
Attachments
Last edited: